| Home | E-Submission/Review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Metals and Materials > Volume 62(4); 2024 > Article
Ti-Ni-Fe 합금의 R상 변태온도에 미치는 Fe 조성과 열처리 온도의 영향

Abstract

R-phase transformations in TiNi shape memory alloys (Nitinol) have various applications because of their small thermal hysteresis and low fatigue resistance. Adding a third element such as Fe or Al is one of the useful ways to induce R-phase transformation. Controlling the R-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is crucial for industrial and bio-field applications. However, the effects of adding Fe have rarely been report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e addition and heat treatment temperature on the R-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of TiNiFe shape memory alloys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increasing Fe composition decreases the R-phase and martensitic transformation temperatures of 19K/1at%Fe and 51 K/1at%Fe, respectively. Additionally, in the Ti–49Ni–1Fe alloy, rather than a martensite transformation, the R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was constant irrespective of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increasing number of thermal cycles. This means that the R-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is not affected by dislocation density resulting from the heat cycling or cold working processes. This allows practical applications of R-phase transformation to be easily realized. Furthermore, this means that the R-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is only affected by the Ni content of the matrix.

1. 서 론

NiTi 형상기억합금(SMA)은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non-conventional 열역학적 특성과,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연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재료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형상 기억 효과, 초탄성 및 높은 내부 마찰(IF) 등의 특성을 활용해 산업용 및 바이오 재료로 많이 응용되고 있다[1-5].
NiTi 형상 기억 합금(SMAs)는 처리 조건에 따라 세 가지 변태거동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고온 B2 상 및 rhombohedral 상 간의 변태(B2↔R), B2 상 및 monoclinic B19' 상 간의 마르텐사이트 변태(B2↔B19'), R상 및 B19‘상 간의 변태(R↔B19')이다[6-9]. 형상기억 효과는 세 가지 변태에서 모두 발현된다. 이 세 종류의 변태는 변형률과 히스테리시스가 다른 특징을 보인다. R-B19‘ 변태와 B2-B19’ 마르텐사이트 변태는 큰 변형률(7~8%)과 히스테리시스(25K 이상)를 특징으로 한다[10-11]. 대조적으로 B2-R 변태는 작은 변형률(~1%)과 히스테리시스(~2–5K)를 나타낸다[12].
B2↔R 변태는 B2↔B19' 마르텐사이트 변태에 비해 변형률은 매우 작지만(1%), 적은 열 이력 현상, 온도 변화에 대한 빠른 응답과 같은 매력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기계적 또는 열적 사이클링 동안 높은 안정성 뿐만 아니라 우수한 피로 저항을 보인다[13-15]. 이러한 고유한 특성을 기반으로 R-상 변태는 actuator 등의 응용 분야에 매우 유망하다. 따라서 B2↔R변태의 응용을 위해 R상 변태온도의 제어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Ti-Ni 합금의 R상 변태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냉간가공 후 중간온도에서의 열처리, 용체화 처리 후 시효처리, 제 3 원소 (Fe, Al, Co)첨가 등이 있다. 특히 과거 연구에서 Ti-Ni기 2원계 합금에 Fe, Al등의 제3원소 첨가는 R상 변태를 도입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보고되어졌다[16-17]. 또한 Fe첨가는 R↔B19'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를 감소시키고 R상을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18-20]. 하지만, 제3원소인 Fe첨가에 따른 R상 변태온도 변화에 대한 체계적인(systemetic한) 연구결과는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e첨가가 Ti-Ni기합금의 변태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equiatomic 조성인 Ti-(50-X)at%Ni-Xat%Fe(X=1.0, 1.5, 2.0, 2.5, 3.0, 3.3)합금에서 Fe첨가에 따른 R상 변태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Fe 첨가에 따라 열처리 온도 및 열 싸이클 효과가 R상 변태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2. 실험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Ti-Ni-Fe합금 잉곳은 스폰지 Ti(순도 99.8%), 입상 Ni(순도 99.9%)을 진공아크용해로를 이용하여 용해하였다. 용해한 Ti, Ni와 로드 형태의 Fe(순도 99.999%)를 1~3.3at%Fe의 비율로 평량하여 2×10-5 torr의 진공도에서 진공아크용해로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잉곳은 와이어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2 mm의 두께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2 mm 시편을 최종 냉간 가공율 30%까지 1073 K, 300 s로 중간열처리를 반복하여 냉간압연을 실시하였다. 압연한 시편은 방전가공을 하여 DSC측정 시편은 3×3 mm의 크기로 컷팅 하였다. 준비된 시편은 Ar 분위기에서 1073 K, 3.6 ks 용체화처리 후 칭하였다. 냉간 가공된 시편은 673 K, 773 K, 873 K, 973 K, 1073 K에서 각각 3.6ks 열처리하였다.
열처리한 시료는 시차 주사 열분석시험(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을 이용하여 변태온도를 조사하였다. 시료는 3×3 mm로 cutting 한 후 냉간가공 시 생긴 산화막 제거를 위해 전해연마를 실시하였다. 냉각, 가열 속도는 10°C/min으로 하였으며, 냉각을 위해 액체질소를 사용하였다. 또한 시료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N2) 가스를 20 ml/min의 속도로 흘려주며 시험하였다. 또한 제작된 시편은 별도의 열싸이클 장비를 이용하여 0~1000회의 반복적인 변태에 대한 변태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Fig 1은 1.0~3.3Fe합금을 1073 K에서 3.6ks 동안 용체화 처리한 시편의 DSC Curve이다. 비교를 위해 Ti-50.0at%Ni 합금의 용체화 처리재의 DSC Curve도 함께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Fe의 조성이 Xat%인 합금을 “XFe합금”으로 표기하였다.
냉각 시 발생하는 B2→B19′ 변태온도 TB2→B19′를 흰 삼각형(D)으로, B2→R 변태온도 TB2→ R 를 흰 마름모(◇)로, R→B19′ 변태 온도 TR→B19′를 흰 역 삼각형(▽)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가열 시 발생하는 B19′→B2 변태온도 TB19′→B2 를 검정 삼각형(▲)으로, R→B2 변태온도 TR→B2 를 검정 마름모(◆)으로, B19′→ R 변태온도 TB19′→ R 를 검정 역 삼각형(▼)으로 표시하였다.
0Fe 합금의 경우 냉각 및 가열 시 일단계 변태가 관찰된다. 즉, 변태 히스테리시스는 25K이며 이 변태는 전형적인 B2↔B19′변태로 사료된다.
한편, 1~1.5Fe합금은 냉각 시 두 개의 피크 및 가열 시 하나의 피크가 관찰된다. 이 합금은 냉각 시 순서대로 B2 →R 변태, R→B19′변태가 발생하고 가열 시 나타나는 하나의 변태 피크는 B2↔B19′ 변태의 큰 변태 히스테리시스로 인해 B19′↔R 변태 없이 B19′에서 모상(B2)으로 직접 변태하는 B19′→B2 변태 피크로 판단된다.
2Fe 합금은 냉각 시 두 개의 피크 및 가열 시 두 개의 피크가 관찰된다. 2Fe합금에서 가열 시 관찰되는 고온 변태 피크는 냉각 시 고온에서 발생하는 피크의 역변태 피크로 판단되며, 변태 히스테리시스는 약 4K인 것으로 보아 B2↔R 변태로 사료된다. 가열에서도 순차적으로 역변태가 일어나므로 저온 변태 피크는 냉각 시 저온 변태의 역변태 피크로 판단된다. 이 변태는 큰 히스테리시스(≃34 K)를 가지는 걸로 보아 B19′↔R 변태로 판단된다. 즉, 이 합금은 냉각 시 B2→R→B19′의 2단계 변태가 일어나고 가열 시 B19′→R→B2의 2단계 역변태가 일어난다.
또한 2.5, 3.0, 3.3Fe합금은 냉각 및 가열 시 각각 하나의 상 변태 피크가 관찰되고 이는 작은 히스테리시스(≃3 K)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는 전형적인 B2↔R 변태의 특징으로 B2↔R 변태로 사료된다. R→B19′ 변태의 경우 TR→B19′ 가 매우 낮아 기계적 한계로 인하여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Fe 조성별 변태온도는 B2→R, R→B19′ 변태 모두 Fe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Fig 1을 바탕으로 Fe 조성에 따른 냉각 시의 변태온도 TB2→ R, TR→B19′의 변화를 Fig 2에 Plot 하였다. F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TB2→ R, TR→B19′는 감소하였다. Fe 함량이 1.0at%Fe 증가함에 따라 TB2→ RTR→B19′는 각각 19 K, 51 K 감소하였다. 또한 그림에서와 같이 Fe 조성이 증가함에 따라 TB2→ RTR→B19′의 변태 온도 차이가 증가한다. 이는 Fe 조성의 증가가 R상 변태를 더욱 안정화 시킨다고 판단된다. 즉 Fe의 첨가가 R상 변태를 응용하기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R상 변태의 경우에 전위, 석출물, 3원소 첨가에 의해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전위나 석출물이 없는 이원계 0Fe합금(Ti-50at%Ni합금) 용체화 처리재의 TB2→R는 측정할 수 없다. 그러나 그림에서와 같이 TB2→R을 외삽함으로써 추측할 수 있다. 그림에서와 같이 외삽한 결과 용체화 처리재에서의 0Fe합금의 TB2→R는 338 K으로 추측된다. 이는 앞서 연구된 미공개 논문 결과와 비교했을 때 전위나 석출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이론적인 0Fe합금의 TB2→R[21]과 거의 같다. 그림에서와 같이 외삽으로 인해 도출되어진TB2→R(=338 K)는 기 보고된 Ti-Ni기 합금에서 발현되는 TB2→R 가장 높은 R상 변태온도라고 추측된다.
Fig 3은 열기계적처리에 따른 변태온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냉간 가공 후 1Fe의 시편을 673 K - 1173 K의 온도에서 3.6 ks동안 열처리한 후 DSC를 측정한 결과이다. 1173 K 열처리재는 냉각 시 두 개의 피크 및 가열 시 하나의 피크가 관찰된다. 이는 Fig 1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냉각 시 순서대로 B2→R 변태, R→B19′ 변태로 인한 피크이다. 가열 시 나타나는 하나의 변태는 B19′에서 모상으로 직접 변태하는 B19′↔B2 변태 피크로 판단된다. 873 K~1073 K 열처리재 모두 1173 K 열처리재와 동일하게 냉각 시 두 개의 피크 가열 시 하나의 피크가 관찰되며 냉각 시 B2→R→B19′의 2단계 변태가 일어나고 가열 시 B19′→B2의 변태가 일어난다.
한편, 773 K 열처리재는 냉각 시 두 개의 피크 및 가열 시 두 개의 피크가 관찰된다. 고온의 피크는 변태 히스테리시스는 약 4K로 전형적인 B2↔R 변태로 사료된다. 저온의 피크는 큰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는 것으로 보아 B19′↔R 변태로 판단된다. 즉, 이 합금은 냉각 시 B2→R→B19′의 2단계 변태가 일어나고 가열 시 B19′→R→B2의 2 단계 역변태가 일어난다. 한편, 673 K 열처리재는 냉각 및 가열 시 하나의 상 변태 피크가 관찰되고 작은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전형적인 B2↔R변태로 보인다. 673 K 열처리 재에서의 R→B19′변태 온도가 매우 낮아 기계적 한계로 인하여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Fig 4는 Fe 조성별로 열처리 온도가 TB2→R(a) 및 TR→B19′(b)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Fig 4(a)에 B2→R 변태온도에 미치는 열처리 온도의 영향을 Plot하였다. 그림에서와 같이 Fe의 조성이 증가할수록 TB2→R는 감소하였다. 또한 1.0~3.3Fe합금 모두에서 TB2→R은 열처리 온도에 무관하게 일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냉간 가공 후 열처리 온도가 증가하면 회복 및 재결정이 발생하게 된다. 즉, 가공전위밀도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게 된다. 즉 열처리 온도가 증가하여 회복 및 재결정에 의해 전위밀도가 감소하여도 TB2→R는 변함이 없다. 이는 TB2→R는 가공전위밀도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Fig 4(b)는 열처리 온도에 따른 TR→B19′를 나타내었다. 1.0, 1.5Fe합금의 TR→B19′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두 증가하였다. 2.0, 2.5, 3.0, 3.3Fe합금의 R→B19′변태 온도는 매우 낮아 기계적 한계로 인하여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열처리 온도 증가 시 회복 및 재결정이 발생하므로, 가공전위밀도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TR→B19′는 열처리 온도 증가 시 변태온도가 증가하므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가공전위밀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R상 변태의 경우 격자뒤틀림이 작으므로 전위 인근의 응력장의 영향이 작지만, 마르텐사이트 변태의 경우 격자뒤틀림이 크므로 전위밀도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10-12]. 1073 K 이상의 열처리 온도에서는 변태온도의 변화가 없다. 이는 1073 K 이상에서 재결정이 완료되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Fig 5은 변태온도에 미치는 열 싸이클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1073 K에서 3.6ks동안 용체화 처리된 1Fe 시편의 각 열 싸이클별 DSC Curve를 나타내었다. 용체화 처리된 합금은 냉각 시 두 개의 피크가 관찰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고온의 피크는 B2→R변태, 저온의 피크는 R→B19'변태로 사료된다. 용체화 처리재에서는 TB2→RTR→B19'는 각각 307 K, 288 K이다. 열싸이클 횟수가 증가할수록 TR→B19'은 288 K에서 264 K까지 감소하고 600싸이클 이후부터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TB2→R은 열 싸이클 횟수에 관계없이 변태온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Fig 6에 1Fe합금의 각 열처리재의 TB2→RTR→B19'을 싸이클 횟수에 대해 plot하였다. 일반적으로 열싸이클에 의해 전위가 도입되고, 열싸이클 횟수가 증가하면 도입되는 전위의 양도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림에서와 같이 열 싸이클 횟수가 증가하더라도 TB2→R이 일정하다는 것은 TB2→R이 전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처럼 R상 변태를 Actuator 등에 응용할 때 반복사용에 의한 전위도입이 TB2→R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매우 유용한 장점이라고 판단된다.
TR→B19'의 경우 873 K 이상의 고온 열처리재는 열싸이클 횟수 증가에 따라 감소하다가 포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773 K 저온 열처리재는 열싸이클에 무관하게 일정하다. 일반적으로 열싸이클에 의해 도입된 전위는 TR→B19'를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시편에 남아있는 냉간가공 전위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고온 열처리재에서는 회복 및 재결정으로 인해 전위밀도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열싸이클 전위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도입되어 TR→B19'가 감소하였다고 사료된다. 반면 저온 열처리재는 냉간가공 시 전위가 잔존하여 열싸이클 시행에 따른 전위 도입이 방해받고, 따라서 TR→B19'는 거의 변함이 없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 반복사용에 의한 전위도입이 변태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실제 응용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7에 1Fe합금의 각 열처리재의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 변화량(T=T1stR-B19'-T1000thR-B19' )을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T는 열처리 온도(Tanneal)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T는 식 1과 같이 Fitting될 수 있다.
(1)
T=α1tan-1 (α2Tanneal-α3)+α4
여기서 α1 = 8.3[K], α2 = 1.9×10-2[1/K], α3 = 16.0, α4 = 11.9[K]로 주어진다. 저온 열처리 구간(773 K-873 K)과 고온 열처리 구간(873 K-1073 K) 사이에서 변화율(△T')의 가시적인 변화가 있다. 그러므로 회복 또는 재결정은 △T의 변곡점인 열처리 온도 850 K 부근에서 발생한다고 사료된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저온 열처리 구간에서는 냉간가공 중 도입된 전위가 잔존하고 있어서 열싸이클에 의한 전위도입이 제한적이고, 열싸이클에 대한 TR-B19'의 변화가 적다고 판단된다. 고온 열처리 구간에서는 회복 및 재결정에 의해 냉간가공 전위가 감소하여 열싸이클에 의한 전위도입이 증가하게 되고, TR-B19'는 싸이클 증가에 따라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더 나아가 열싸이클 전위가 포화된 경우의 변태온도 변화, 즉 △T의 최대 값은 △Tmax=△T(Tanneal→∞)≃25.0K로 예측된다. 이는 30% 냉간 가공된 1Fe 합금에 대한 추정치이며 Fe 조성, 냉간가공율, 용체화처리 온도 등 다양한 요소의 영향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 결 론

Ti-Ni-Fe합금에서 Fe 조성과 열처리 온도가 R상 변태온도 TB2→R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에 DSC 측정 및 열사이클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Fe 조성의 증가는 TB2→R, TR→B19' 모두를 감소시킨다. DSC결과 1.0at%Fe 증가함에 따라 TB2→R, TR→B19'는 각각 19 K, 51 K 감소한다. Fe 조성 증가에 따라 TB2→R, TR→B19' 간의 폭이 증가하므로 R상이 안정적이게 된다.
2. 열처리 온도의 증가에 따라 TR→B19'는 증가하고 TB2→R는 일정하다. 따라서 TR→B19'는 가공전위밀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반면, TB2→R는 가공전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열싸이클 횟수의 증가에 따라 TR→B19'는 감소하고 TB2→R는 일정하다. 따라서 TR→B19'는 열싸이클 전위밀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반면 TB2→R는 열싸이클 전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열싸이클에 의해 TB2→R가 변하지 않는 점은 R상 변태가 실제 응용에 용이함을 시사한다.
4. 1000회 열싸이클 후의 TR→B19'의 변화량 △T는 열처리 온도가 낮을수록 감소한다. 이는 시편에 남아있는 가공 전위로 인해 열싸이클에 의한 전위도입이 방해받기 때문이다. 특히 773 K 열처리재의 경우 △T가 0에 가까우므로, M상 변태를 활용할 경우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실제 응용에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 1.
DSC curve of solution heat treated equi-atomic Ti-(50-X) Ni-X Fe(X=0~3.3) alloy.
kjmm-2024-62-4-251f1.jpg
Fig. 2.
Transformation temperature change of Ti-(50-X) Ni-X Fe alloy caused by Fe composition(X) change
kjmm-2024-62-4-251f2.jpg
Fig. 3.
Transformation behavior of for Ti-49Ni-1Fe alloy specimen annealed at 673~1173 K.
kjmm-2024-62-4-251f3.jpg
Fig. 4.
Effect of annealing temperature for Ti-(50-X) Ni-X Fe alloy(X=1, 1.5) on; (a) R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b) M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s.
kjmm-2024-62-4-251f4.jpg
Fig. 5.
DSC curves of Ti-49Ni-1Fe alloy for each thermal cycle.
kjmm-2024-62-4-251f5.jpg
Fig. 6.
Effect on thermal cycle on transformation temperature in a solution heat treated Ti-49Ni-1Fe alloy at 1073K, 3.6k.
kjmm-2024-62-4-251f6.jpg
Fig. 7.
Effect of annealing temperature on ΔT
kjmm-2024-62-4-251f7.jpg

REFERENCES

1. J. V. Humbeeck, Mater. Sci. Eng. A. 273–275, 134 (1999).

2. T. Duerig, and et al, Mater. Sci. Eng. A. 273–275, 149 (1999).

3. J. J. Mohd, Mater. Des(1980-2015). 56, 1078 (2014).

4. J. Khalil, and et al, Acta Mater. 50, 793 (2002).

5. K. Otsuka and X. Ren, Prog. Mater Sci. 50, 511 (2005).
crossref
6. S. Miyazaki, and et al, Philoso. Mag. A. 57, 467 (1988).
crossref
7. X. B. Wang, and et al, Mater. Sci. Technol. 30, 1517 (2014).

8. S. Miyazaki and C.M. Wayman, Acta Metall. 36, 181 (1988).
crossref
9. C. M. Craciunescu, and et al, Thin Solid Films. 434, 271 (2003).
crossref
10. J. I. Kim, and et al, Acta Mater. 52, 487 (2004).
crossref
11. Sittner, and et al, Mech. Mater. 38, 475 (2006).

12. J. I. Kim and S. Miyazaki, Metall Mater Trans A. 36, 3301 (2005).
crossref pdf
13. H. Tobushi, and et al, Smart Mater. Struct. 5, 788 (1996).
crossref
14. J. Uchil, and et al, Mater. Sci. Eng. A. 332, 25 (2002).
crossref
15. Miyazaki, and et al, Acta metall. 34, 2045 (1986).
crossref
16. C. M. Hwang, and et al, Philoso. Mag. A. 47, 177 (1983).
crossref
17. C. M. Hwang and C. M. Wayman, Scr. Metall. Mater. 17, 385 (1983).
crossref
18. P. C. Chang, and et al, Intermetallics. 84, 130 (2017).
crossref
19. S. Hou, and et al, EPL. 100, 58001 (2012).
crossref
20. D. Wang, and et al, Acta Mater. 58, 6206 (2010).
crossref
Editorial Office
The Korean Institute of Metals and Materials
6th Fl., Seocho-daero 56-gil 38, Seocho-gu, Seoul 06633, Korea
TEL: +82-2-557-1071   FAX: +82-2-557-1080   E-mail: metal@kim.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Metals and Materials.                 Developed in M2PI